상속세 면제한도 세율 및 상속세 공제 순위

상속세 면제한도 세율 및 상속세 공제 순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자들은 “망해도 3대가 먹고 산다”라는 속담이 있죠. 하지만 이제는 상속에 대한 세금 문제가 사회적으로 더 중요해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상속세는 부의 대물림에서 민감한 이슈 중 하나로, 상속세 및 증여세 모두 필수로 계산을 해봐야 합니다.

상속세율

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액
1억 원 이하10%없음
5억 원 이하20%1,000만 원
10억 원 이하30%6,000만 원
30억 원 이하40%1억 6,000만 원
30억 원 초과50%4억 6,000만 원
상속세 세율

상속세는 모든 세금과 마찬가지로 과세 표준에 일정한 세율을 곱해 계산됩니다. 현재 상속세세율은 최저 10%부터 최고 50%까지, 총 5단계 누진세 개념으로 누진 세율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상속세 면제한도 세율

상속세율 계산방법

예를 들어서 상속 받은 자산의 과세표준이 9억 원이다라고 한다면 30%세율이 적용되어 9억의 30%인 2억 7,000만 원에서 누진 공제액 6천만 원을 빼서 2억 1,000만 원의 세금이 부과 되는 방식입니다.

다만 상속 재산에 대해서 과세표준을 구하는 방식을 별도로 적용해야 합니다.

상속세 면제한도 항목

상속세의 경우 몇 가지 공제 항목이 존재합니다. 먼저, 사망으로 인해 상속이 시작되는 경우 상속세 공제로 2억 원을 공제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상속 대상이 기업인 경우, 해당 기업의 상속 재산가액에 상응하는 금액에 대한 상속 공제가 가능하며, 이때 한도는 200억 원에서 500억 원 사이로 형성됩니다.

또한, 영농 상속 재산의 경우 상속 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한도는 20억 원입니다.

상속세 면제조건 상속세 과세대상

추가 상속세 면제한도

  1. 자녀 공제
  2. 미성년자 공제
  3. 연로자 공제
  4. 장애인 공제
  5. 자녀 미성년 공제 중복 적용
  6. 배우자 상속공제

사망으로 인한 상속에서는 자녀 및 동거 가족에 대한 추가 상속세 공제가 가능합니다. 자녀 공제의 경우 인당 5천만 원이며, 미성년자의 경우 1천만 원에 19세까지의 잔여 연수를 곱하여 계산합니다.

또한, 연로자는 인당 5천만 원이며, 장애인은 인당 1천만 원에 기대 여명까지의 연수를 곱하여 계산하며, 자녀가 미성년자인 경우 미성년 공제와 자녀 공제를 중복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자녀공제

자녀에 대한 상속세 공제로, 인당 5천만 원이 적용됩니다.

2. 미성년자 공제

미성년자 자녀에 대한 공제는 1천만 원에 해당하며, 19세까지의 잔여 연수를 곱하여 계산합니다.

3. 연로자 공제

연로자에 대한 상속세 공제로, 인당 5천만 원이 적용됩니다.

4. 장애인공제

장애인에 대한 상속세 공제로, 인당 1천만 원에 기대 여명까지의 연수를 곱하여 계산합니다.

5. 자녀 미성년 공제 중복 적용

자녀가 미성년자인 경우, 미성년 공제와 자녀 공제를 중복 적용할 수 있습니다.

6. 배우자 상속공제

만약 배우자의 사망으로 인한 상속의 경우, 배우자 상속공제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상속받은 재산이 5억원 미만인 경우, 5억원 상속세 공제가 가능하며, 5억원 이상인 경우 실제 상속받은 금액을 공제하며, 이때 한도는 30억 원입니다.

이렇게 상속세는 다양한 요소와 공제 항목이 존재하여 복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속세에 대한 이해와 관련 정보는 중요하며, 부의 대물림에 대한 이야기 뒤에 숨겨진 세금 이슈에 대해 더 많이 알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상속 시 채무가 있는 경우

상속을 받을 때 채무가 있는 상태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경우, 상속 받은 금융 재산의 가치에서 채무를 차감한 금액에 대한 공제가 이루어집니다.

재산 가치가 2천만 원 이하라면 전액이 공제 되지만, 10억 원을 초과한다면 공제액은 2억 원 정도로 한정됩니다.

상속세 면제한도 활용

상속세 공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상속세 공제의 합계 액수는 공제에 적용되는 한도액을 초과할 수 없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또한, 사망 전에 증여를 했다면, 10년 이내에 증여한 재산의 가치는 상속분에 발생하는 세금의 과세액에 가산될 수 있으므로, 증여나 상속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세금을 고려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상속세 면제한도 상속 순위 1순위 직계비속 및 배우자 2순위 직계존속 및 배우자

상속 순위 확인

  1. 사망자의 직계비속 및 배우자가 1순위입니다.
  2. 직계비속 및 배우자가 없는 경우, 직계존속과 배우자가 2순위로 받게 됩니다.
  3. 만약 직계존속과 배우자가 모두 없는 경우, 3순위로 형제 자매가 상속 대상이 됩니다.
  4. 그에도 상속 대상이 없다면, 4촌 이내의 방계 혈족이 상속을 받게 되며, 이 경우에는 해당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상속 및 세금에 대한 납세 의무를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민법 제 1000조에서는 상속 순위를 정해두고 상속인을 판별합니다.

상속세 납부기한

상속이 이루어진 경우, 반드시 상속의 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 일부터 6개월 이내에 해당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2년 11월에 사망한 경우, 상속 세금은 11월 말부터 6개월 안인 2023년 5월 31일까지 납부되어야 합니다.

이 기한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일부 재벌 총수들은 상속에 대한 세금을 다양하게 납부하면서 사회적 재분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생전에 쌓아온 재산에 대한 상속이라 할지라도, 국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며 세금을 올바르게 납부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또한, 상속세 면제한도 및 상속세율을 잘 알고, 활용해 세금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공제 항목을 활용하여 세금을 절감하는 것은 현명한 선택일 것입니다. 상속세를 납부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공익을 위한 일환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상속세를 납부할 때, 기한을 엄수하고 공제 조건을 활용하여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은 모든 시민의 의무입니다.

상속세 면제한도 및 상속세율표 누진공제 계산 방법

제적등본 뜻 및 발급 방법

부동산 증여세율 및 부동산 증여세 계산기

부담부증여 양도세 취득세 증여세 절세 방법

증여세 신고방법 및 신고 서류

증여세 면제한도 및 증여 세율 가족관계별 (형제자매, 부부, 며느리, 손자)

종합부동산세 (종부세) 뜻 과세표준 합산배제 계산기

재산세 과세표준 및 세율, 아파트 재산세 계산, 조회, 확정 납부 기간 부과기준 뜻

장기보유 특별공제율 다주택자, 토지, 상가, 농지, 사업용토지, 비사업용토지 등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